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한 대법원 상고심 선고가 5월 1일 오후 3시 대법정에서 진행됩니다. 대법원은 이번 사건의 국민적 관심도와 사회적 파급 효과를 고려해 TV와 대법원 유튜브 채널을 통한 생중계를 허용했습니다. 이례적으로 빠른 속도로 진행된 이번 상고심은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상고심 쟁점과 배경
이재명 후보는 2021년 대선후보 신분으로 방송에 출연해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을 모른다고 발언하고, 국정감사에서 성남시 백현동 한국식품연구원 부지 용도변경 과정에 국토교통부의 협박이 있었다고 말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1심에서는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이 선고되었으나, 2심에서는 전부 무죄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항소심 재판부는 김문기 관련 발언이 골프를 함께 쳤다는 증거가 될 수 없고, 백현동 관련 발언은 의견 표명에 해당해 허위사실공표죄로 처벌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신속한 재판 진행 과정
이번 상고심은 이례적으로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습니다. 대법원은 지난달 28일 사건을 접수한 뒤 약 한 달간 심리를 진행했고, 조희대 대법원장은 지난 22일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했습니다. 이는 공직선거법 제270조에 따라 선거 사건 재판을 3개월 안에 마치도록 한 강행 규정을 지키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법조계에서는 대선 일정을 고려해 법적 불확실성을 조기에 해소하려는 의도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판결 결과에 따른 정치적 영향
판결 결과는 이재명 후보의 정치적 운명을 좌우할 것입니다. 만약 대법원에서 벌금 100만원 이상의 형이 확정되면 의원직을 상실하고 5년간 피선거권이 박탈되어 차기 대선 출마가 불가능해집니다. 반면 무죄 판결이 나오거나 벌금 100만원 미만의 형이 확정된다면 대선 출마에 법적 제한이 없게 됩니다. 상고심 선고 당일 이재명 후보는 대법원 상고심에는 피고인 출석 의무가 없어 법정에 직접 출석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국민적 관심이 집중된 이번 상고심 선고는 단순한 법적 판단을 넘어 한국 정치의 향방을 가늠할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생중계를 통해 많은 국민이 이 역사적인 순간을 지켜볼 예정이며, 법원의 판단이 어떻게 내려질지 이제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